컴퓨터 부팅이 느린 건 단순히 하드웨어 문제만은 아닙니다. 대부분은 윈도우가 시작될 때 함께 실행되는 프로그램들이 줄줄이 달려있기 때문이죠.
더 많은 최적화·활용 팁은 윈도우10 최적화 가이드 모음(허브) 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스타트 이미지 |
1. 시작프로그램이란 무엇인가?
시작프로그램의 정체
시작프로그램은 윈도우가 부팅될 때 자동으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들입니다. 좋게 말하면 편의 기능이고, 나쁘게 말하면 컴퓨터를 느리게 만드는 주범이죠.
대부분의 프로그램들은 설치할 때 슬그머니 시작프로그램에 자신을 등록합니다. 사용자 동의도 제대로 받지 않고 말이죠. 스카이프, 디스코드, 카카오톡 같은 메신저부터 Adobe 업데이터, 각종 게임 런처까지.
2. 시작프로그램 확인하는 방법
2-1. 작업 관리자로 확인하기
가장 쉬운 방법입니다. Ctrl + Shift + Esc
를 누르면 작업 관리자가 열립니다.
- 시작프로그램 탭 클릭
- 각 프로그램별로 시작 영향도 확인 가능
- 높음/중간/낮음으로 표시
2-2. 시스템 구성으로 확인하기
Windows + R
→ msconfig
입력 → 시작프로그램 탭
여기서는 더 자세한 정보를 볼 수 있습니다:
- 프로그램 경로
- 제조업체 정보
- 시작 위치
3. 불필요한 시작프로그램 찾아내기
3-1. 절대 끄면 안 되는 필수 프로그램들
컴퓨터의 중요 프로그램들이 있습니다:
- Windows Security (바이러스 백신)
- 오디오 드라이버 (Realtek, Intel 등)
- 그래픽 드라이버 (NVIDIA, AMD, Intel)
- 터치패드 드라이버 (노트북의 경우)
이런 건 건드리지 마세요.
3-2. 과감히 꺼도 되는 프로그램들
대부분의 사용자에게 불필요한 것들:
- Adobe 업데이터 (필요할 때만 업데이트하면 됨)
- Spotify, iTunes 등 음악 프로그램
- 게임 런처 (Steam, 에픽게임즈 등)
- 오피스 프로그램 (Word, Excel 등)
- 클라우드 동기화 (OneDrive, Google Drive 등)
3-3. 판단이 애매한 그레이존 프로그램들
- 카카오톡, 디스코드 → 자주 사용한다면 켜두고, 아니면 끄기
- 백신 프로그램 → Windows Defender 외 추가 백신이면 고민해보기
- 프린터 소프트웨어 → 자주 인쇄하지 않으면 불필요
4. 시작프로그램 비활성화
4-1. 작업 관리자에서 비활성화
![]() |
시작프로그램 |
- 작업 관리자 → 시작프로그램 탭
- 비활성화할 프로그램 우클릭
- 사용 안 함 선택
4-2. 프로그램 설정에서 직접 끄기
더 확실한 방법은 프로그램 자체 설정에서 끄는 것입니다:
- 카카오톡: 설정 → 일반 → 윈도우 시작 시 카카오톡 실행 체크 해제
- Spotify: 설정 → 시작 및 창 동작 → 컴퓨터 시작 시 Spotify 열기 끄기
- Discord: 설정 → Windows 설정 → 시스템 시작 시 Discord 열기 비활성화
4-3. 안전한 비활성화 순서
처음엔 조심스럽게 접근하는 게 좋습니다:
- 1단계: 명확히 불필요한 것들부터 (게임, 음악 프로그램)
- 2단계: 가끔 사용하는 것들 (메신저, 클라우드)
- 3단계: 시스템 관련은 마지막에 신중하게
부팅 최적화는 이 글과 함께 윈도우10 속도 최적화 12가지와 윈도우10 숨겨진 기능 TOP 10을 함께 적용하면 체감이 훨씬 커집니다.
5. 부팅 속도 측정하고 개선 효과 확인하기
5-1. 부팅 시간 측정 방법
윈도우 자체 기능으로 측정할 수 있습니다:
Windows + R
→eventvwr.msc
입력- 응용 프로그램 및 서비스 로그 → Microsoft → Windows → Diagnostics-Performance → Operational
- 이벤트 ID 100번 찾기
여기서 부팅 시간을 초 단위로 확인할 수 있어요.
5-2. 개선 전후 비교하기
정상적인 부팅 시간 기준:
- SSD: 15-30초
- HDD: 30-60초
- 그 이상: 시작프로그램 정리 필요
시작프로그램을 절반으로 줄이면 부팅 속도가 2배 빨라지는 게 아닙니다. 보통 30-50% 정도 개선되죠.
6. 고급 최적화 팁
6-1. 빠른 시작 기능 활용
윈도우 10/11의 빠른 시작 기능을 켜두세요:
- 제어판 → 전원 옵션 → 전원 단추 작동 설정
- 빠른 시작 켜기 체크
이 기능은 마치 컴퓨터를 완전히 끄는 대신 깊은 잠에 빠뜨리는 것과 비슷합니다.
6-2. SSD 최적화
SSD를 사용한다면:
- AHCI 모드 확인 (BIOS 설정)
- TRIM 명령 활성화:
fsutil behavior set DisableDeleteNotify 0
- 인덱싱 서비스 비활성화 고려
6-3. 메모리 진단
가끔은 RAM 문제일 수도 있습니다:
Windows + R
→ mdsched
→ 메모리 진단 실행
7. 주의사항과 복구 방법
7-1. 너무 많이 껐을 때 대처법
혹시 필수 프로그램까지 꺼서 문제가 생겼다면 당황하지 마세요. 다시 켜면 됩니다.
안전 모드로 부팅:
- 안전모드 진입 안전모드 진입방법
- 작업 관리자에서 필요한 프로그램 다시 활성화
7-2. 시스템 복원 지점 만들기
큰 변경 전에는 반드시 복원 지점을 만들어두세요:
Windows + R
→ rstrui
→ 복원 지점 만들기
이건 마치 게임에서 세이브 파일 만드는 것과 같습니다.
8. 장기적인 관리 전략
8-1. 정기적인 점검
한 달에 한 번 정도는 시작프로그램을 점검해보세요. 새로 설치한 프로그램들이 몰래 추가되었을 가능성이 높거든요.
8-2. 프로그램 설치 시 주의점
새 프로그램을 설치할 때는 사용자 지정 설치를 선택하세요. 그래야 시작프로그램 등록 여부를 직접 컨트롤할 수 있습니다.
8-3. 대안 방법들
정말 자주 사용하는 프로그램이라면:
- 작업 표시줄 고정으로 대체
- 바탕화면 바로가기 활용
- 윈도우 키 + 숫자 단축키 설정
무엇보다 중요한 건 점진적으로 접근하는 것입니다. 한 번에 모든 걸 끄려고 하지 말고, 하나씩 차근차근 정리해나가면 됩니다. 컴퓨터도 사람처럼 갑작스러운 변화보다는 서서히 적응하는 게 좋거든요.
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