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ity Editor 실행 시 바로 꺼짐(Windows) 해결 가이드: Editor.log·-force-d3d11·Library 재생성

최종 업데이트: · Windows에서 Unity Editor가 시작 직후 크래시되거나 검은 화면만 표시되는 문제(유니티 실행 시 바로 꺼짐/실행 안됨)를 로그 분석부터 GPU 강제 옵션까지 체계적으로 해결하는 완전 가이드입니다.

빠른 해결 요약

Unity Editor 바로 꺼짐 문제는 주로 GPU 렌더링 충돌, 캐시 손상, 드라이버 문제가 원인입니다:

  1. Editor.log 확인하여 크래시 원인 파악
  2. -force-d3d11 또는 -force-vulkan 실행 옵션으로 GPU 우회
    (구버전 한정: -force-glcore 또는 -force-opengl)
  3. 프로젝트 Library 폴더 삭제 후 재생성
  4. GPU 드라이버 및 Visual C++ Redistributable 재설치

크래시 증상 확인

Unity Editor 크래시는 다음과 같은 형태로 나타납니다:

  • 즉시 종료형: Unity 로고 표시 후 "Unity Editor has stopped working" 팝업과 함께 종료
  • 검은 화면형: 검은 화면만 표시되다가 응답 없음 상태로 전환
  • 무음 종료형: 별다른 에러 메시지 없이 작업 관리자에서 프로세스만 사라짐
  • 로딩 중 멈춤: Unity 로딩 바에서 멈춘 채 더 이상 진행되지 않음

주요 원인 분석

Unity Editor 크래시의 주요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빈도는 일반적 사례 기준):

1. GPU 렌더링 충돌

DirectX, OpenGL, Vulkan과 그래픽 드라이버 간 호환성 문제가 가장 흔합니다. 특히 구형 GPU나 최신 드라이버 환경에서 자주 발생합니다.

2. 손상된 프로젝트 캐시

Library, Temp 폴더의 메타데이터나 임포트 캐시 손상으로 로딩 실패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3. 런타임 라이브러리 문제

Visual C++ Redistributable 누락이나 버전 충돌로 필수 DLL 로딩이 실패할 수 있습니다.

4. 플러그인/에셋 충돌

서드파티 에디터 확장이나 네이티브 플러그인의 초기화 단계에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해결 방법 7가지

방법 1: Editor.log 점검

크래시 원인을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 먼저 로그를 확인합니다:

  1. Windows + R 키를 누르고 %LOCALAPPDATA%\Unity\Editor 입력
    (예: C:\Users\계정명\AppData\Local\Unity\Editor)
  2. Editor.log 파일을 메모장이나 텍스트 에디터로 열기
  3. 파일 끝부분의 마지막 20-30줄에서 에러 메시지 확인

체크포인트: "DirectX", "OpenGL", "GPU", "driver", "d3d11" 등의 키워드가 있다면 방법 2로 바로 이동하세요.
필요하다면 같은 위치의 Editor-prev.log도 함께 확인하세요.

방법 2: GPU 렌더링 강제 변경

가장 효과적인 즉석 해결책입니다:

  1. Unity Editor 실행 아이콘 우클릭 → 속성 선택
  2. "대상" 필드 맨 끝에 공백 후 다음 옵션 중 하나 추가:
-force-d3d11
-force-vulkan

예시: "C:\Program Files\Unity\Editor\Unity.exe" -force-d3d11

성공 시: Unity가 정상 실행되면 이후 방법 4에서 근본적인 드라이버 문제를 해결하세요.
만약 Vulkan 실행이 불안정하다면 d3d11로 회귀하세요.

방법 3: 프로젝트 캐시 재생성

손상된 캐시를 완전히 새로 만듭니다:

  1. Unity Editor와 Unity Hub 완전 종료 확인
  2. 문제가 발생한 프로젝트 폴더로 이동
  3. Library 폴더와 Temp 폴더 삭제
  4. Unity에서 해당 프로젝트 다시 열기
Unity Editor 실행 시 바로 꺼짐 – Windows 탐색기에서 Library 폴더 삭제 화면

주의사항: Library 폴더 재생성에는 프로젝트 크기에 따라 수 분~수십 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방법 4: GPU 드라이버 완전 재설치

근본적인 GPU 호환성 문제를 해결합니다:

  1. DDU(Display Driver Uninstaller) 다운로드
  2. 안전 모드로 부팅 후 DDU로 기존 드라이버 완전 제거
  3. 정상 부팅 후 GPU 제조사 공식 사이트에서 최신 드라이버 설치
  4. 컴퓨터 재시작 후 Unity 실행 테스트

방법 5: Visual C++ Redistributable 재설치

Unity 실행에 필수적인 런타임 라이브러리 문제를 해결합니다:

  1. 앱 및 기능에서 기존 Microsoft Visual C++ 항목을 수정(Repair)하거나 제거 후 재설치
  2. Microsoft 공식 페이지에서 최신 Microsoft Visual C++ 2015-2022 Redistributable 다운로드
  3. x64와 x86 버전 모두 설치
  4. 컴퓨터 재시작 후 Unity 실행 테스트

방법 6: 플러그인 충돌 해결

서드파티 에셋으로 인한 충돌 문제를 격리합니다:

  1. 새 빈 프로젝트 생성하여 Unity 자체 문제인지 확인
  2. 문제 프로젝트에서 최근 설치한 Asset Store 패키지 임시 제거
  3. 특히 에디터 확장 기능(Odin Inspector, ProBuilder, Shader Graph 등) 우선 제거
  4. 하나씩 다시 설치하며 문제 원인 특정

방법 7: Unity 완전 재설치

다른 방법이 모두 실패할 경우의 최후 수단입니다:

  1. Unity Hub에서 문제가 되는 Unity 버전 제거
  2. %APPDATA%\Unity (예: C:\Users\계정명\AppData\Roaming\Unity) 및 %LOCALAPPDATA%\Unity (예: C:\Users\계정명\AppData\Local\Unity) 폴더 삭제
  3. Unity Hub를 통해 해당 버전 재설치 (LTS 버전 권장)

로그 분석 및 진단

Editor.log에서 자주 나타나는 에러 패턴과 해당 해결 방법:

GPU 관련 에러

로그 예시: "D3D11 CreateDevice failed", "OpenGL context creation failed"
해결책: GPU 렌더링 강제 변경 + 드라이버 재설치

DLL 관련 에러

로그 예시: "Failed to load 'UnityEngine.dll'", "vcruntime140.dll was not found"
해결책: Visual C++ Redistributable 재설치

프로젝트 데이터 에러

로그 예시: "Failed to load library", "Corrupted serialized file"
해결책: 프로젝트 캐시 재생성

재발 방지법

정기적인 시스템 관리

  • 월 1회 GPU 드라이버 업데이트: 제조사 공식 사이트에서 확인
  • Unity LTS 버전 사용: 안정성이 검증된 Long Term Support 버전 선택
  • Visual C++ 런타임 상태 점검: Windows 업데이트와 함께 확인

프로젝트 관리 팁

  • 백업 범위: 권장 백업 대상은 Assets/Packages/ProjectSettings. Library는 캐시 폴더라 필요 시 속도 목적으로만 임시 보관
  • 단계적 에셋 설치: 여러 플러그인을 동시에 설치하지 말고 하나씩 테스트
  • 정기적인 캐시 정리: 대형 프로젝트의 경우 월 1회 Library 폴더 재생성

자주 묻는 질문

Q: Unity Hub에서 실행해도 바로 꺼집니다.
→ Hub는 실행 런처일 뿐입니다. 문제는 Editor 자체에 있으므로 위 방법들을 적용하세요.

Q: 모든 프로젝트에서 크래시가 발생합니다.
→ 공통 문제일 가능성이 큽니다. GPU 옵션드라이버 재설치를 우선 시도하세요.

Q: 특정 프로젝트에서만 크래시가 발생합니다.
→ 해당 프로젝트의 캐시 재생성플러그인 점검을 진행하세요.

Q: -force-d3d11 옵션은 되지만 정상 모드는 안 됩니다.
→ DirectX와 GPU 드라이버 충돌입니다. 드라이버 완전 재설치가 필요합니다.

Q: 프로젝트마다 다 크래시가 납니다.
→ 시스템 전반 문제일 수 있습니다. 방법 4방법 5를 순서대로 시도하세요.

해결 완료 체크리스트

  • Unity Editor를 -force-d3d11 옵션으로 실행했는가?
  • Library 폴더를 삭제하고 재생성했는가?
  • GPU 드라이버와 Visual C++ Redistributable을 재설치했는가?
  • 플러그인/에셋 충돌 여부를 확인했는가?
  • Editor.log 또는 Editor-prev.log에서 구체적인 에러 메시지를 확인했는가?

관련 참고 자료

댓글 쓰기

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