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rectX 오류 DXGI_ERROR_DEVICE_REMOVED 뜰 때 GPU 가속 → 소프트웨어 전환 순서

Premiere Pro, DaVinci Resolve, CapCut, Shotcut 같은 영상 편집기에서 DirectX 관련 오류(예: DXGI_ERROR_DEVICE_REMOVED, device hung, D3D11/12 device lost)로 미리보기 끊김·검은 화면·내보내기 중단이 발생할 수 있다. 아래 순서대로 점검하면 재현 원인을 좁히고 안정화할 수 있다.

✔ 핵심요약
  • GPU 드라이버·DirectX 런타임·VC++ 재배포 패키지부터 최신화
  • 편집기 렌더러(DirectX/CUDA/OpenCL/Software) 전환으로 재현 확인
  • TDR 지연값 등록(8~10초) 후 하드웨어 가속 충돌 여부 재검증

DirectX 오류가 나는 대표 원인

  • GPU 드라이버/런타임 불일치: 드라이버 버그, 스튜디오/게임 레디 혼용, d3dcompiler·레거시 DX SDK 누락 등.
  • 하드웨어 가속 충돌: 편집기의 DX12/DX11·CUDA·OpenCL 설정이 시스템과 엮이며 TDR 타임아웃(기본 2초)로 장치 손실.
  • 오버레이/후킹: Discord, GeForce Experience, MSI Afterburner, Xbox Game Bar 등 오버레이가 DX 스택을 가로챔.

원인별 증상·설명·빠른 해결

원인 설명 빠른 해결
드라이버/런타임 불일치 DXGI 오류, 디바이스 로스트/행; 특정 인코더(HEVC/AV1)에서만 실패 GPU 드라이버 DDU 재설치 + DirectX/VC++ 재배포 세트 설치
가속 충돌(TDR) 무거운 이펙트·노드에서만 멈춤/검정 화면; 로그에 timeout/removed 기록 렌더러 전환(GPU 가속 ↔ 소프트웨어) + TDR 지연 8~10초 설정
오버레이/후킹 에디터 열면만 크래시/미리보기 창에서만 중단 모든 오버레이 비활성·클린 부팅·게임 바 Off

순서대로 따라 하기 (Windows 10/11)

정보 — 각 단계 후 같은 프로젝트로 재현 테스트해라. 실패 구간·로그 메시지를 기록하면 원인 수렴이 빠르다.
  1. GPU 드라이버를 ‘깨끗하게’ 재설치
    DDU(세이프 모드)로 제거 → 재부팅 → 제조사 최신 드라이버 설치. NVIDIA는 스튜디오/게임 레디 중 하나로 고정, AMD/Intel도 최신 안정판 권장.
  2. DirectX & VC++ 런타임 보강
    최신 DirectX 런타임(레거시 구성요소 보강용)Microsoft ‘Latest supported VC++ Redistributable(2015–2022 통합)’를 설치해 누락 구성 요소를 정리한다.
  3. 편집기 렌더러/디코더 전환
    앱 설정에서 GPU 가속(예: CUDA/OpenCL)Software(소프트웨어)로 전환해 재현 여부를 비교한다. (Premiere Pro: File → Project Settings → General → Renderer, DaVinci Resolve: Preferences → System → Memory and GPU → GPU processing mode, Shotcut: Settings → Display Method 등 앱별 메뉴에 따름)
    DaVinci Resolve 예시 화면 — GPU 가속 방식 선택은 CUDA 우선 사용 → 충돌 지속 시 OpenCL 전환 → 그래도 재현되면 Auto 해제 + 단일 GPU 강제 → 최종적으로 Software 경로 비교 (Preferences → System → Memory and GPU → GPU processing mode)
  4. TDR 지연값 늘리기(장치 손실 완화)
    레지스트리 HKEY_LOCAL_MACHINE\SYSTEM\CurrentControlSet\Control\GraphicsDriversTdrDelay (DWORD, 초 단위, 권장 시험 범위 8~10) 추가. 재부팅 후 동일 구간 테스트.
  5. 오버레이·후킹·녹화 도구 비활성
    Discord/Steam/Game Bar/Nahimic/Afterburner/RTSS/GeForce Overlay를 모두 끄고, 클린 부팅으로 충돌원 제거.
  6. 미디어 기능/코덱 확인
    Windows N 에디션은 설정 → 앱 → 선택적 기능 → 기능 추가에서 Media Feature Pack을 설치한다. HEVC/AV1 하드웨어 인코더는 장치/드라이버 지원 확인.
  7. 전원/열 관리
    전원 옵션을 최고 성능으로, NVIDIA 제어판 전원 관리 최대 성능 선호. 온도 스로틀링 없는지 모니터링.
  8. 캐시/프리뷰 재생성
    앱 캐시·미디어 캐시 삭제 후 프로젝트 다시 열고 프록시/최대 품질 렌더는 단계적으로 적용.
주의 — Microsoft는 일반 사용자에게 TDR 레지스트리 편집을 권장하지 않는다. 반드시 레지스트리 백업 후, 최후 수단으로만 TdrDelay를 8~10(초) 범위에서 시험하고 문제 해결 후 기본값(기본 타임아웃 약 2초)으로 되돌려라.

특정 상황 예외·대안

  • 낮은 VRAM/내장 GPU: 프록시 편집(720p/저비트), 타임라인 품질 낮춤, 무거운 이펙트는 렌더 캐시 후 미리보기.
  • 구형 드라이버가 더 안정: 최신이 불안정할 땐 직전 안정판으로 롤백해 증상 비교.
기술 원리: TDR(Timeout Detection & Recovery)과 장치 손실
Windows는 GPU가 일정 시간(기본 2초) 응답하지 않으면 드라이버를 재시작한다. 무거운 이펙트나 디코더 충돌 시 이 타임아웃을 자주 건드려 device removed/hung가 발생한다. 지연값을 살짝 늘리면 복구 여유가 생긴다.

Q&A

DX12만 켜면 미리보기가 끊기는데 왜 그럴까?

특정 드라이버 버전이나 플러그인이 DX12 경로에서만 충돌할 수 있다. DX11 또는 소프트웨어로 전환해 재현 여부를 확인하고, 최신/직전 드라이버를 교차 적용해 안정 경로를 고정하라.

내보내기만 실패하고 타임라인은 정상이다?

인코더(HEVC/AV1)·GPU 가속 경로의 문제일 확률이 높다. 코덱을 H.264로 바꾸거나 하드웨어 → 소프트웨어 인코딩으로 전환해 비교하라.

DXGI_ERROR_DEVICE_REMOVED는 하드웨어 불량일까?

대부분 드라이버/오버레이/타임아웃 이슈다. 발열·전력 여유가 부족하면 빈도가 늘어난다. 전원 관리와 온도, 오버레이 비활성부터 확인하라.

점검 체크리스트 (5단계 요약)

  • DDU 후 GPU 드라이버 재설치(스튜디오/안정판 고정)
  • DirectX 런타임 + VC++ 재배포(2015–2022 통합) 설치
  • 렌더러/인코더 전환(GPU 가속 ↔ 소프트웨어, CUDA/OpenCL 테스트)
  • TDR 지연 8~10초 설정 후 재현 구간 검증
  • 오버레이·후킹·클린 부팅으로 간섭 제거(빠른 해결 방법)

FAQ

TDR 값을 높였더니 오히려 더 멈춘다?
지연값이 길면 ‘멈춘 상태’를 오래 기다리게 된다. 테스트 후 효과가 없으면 기본(값 없음)으로 되돌리고 다른 원인을 선행 제거하라.
NVENC/AMF/Quick Sync 인코딩만 실패하면?
해당 플랫폼 코덱 드라이버 문제일 가능성이 크다. 드라이버 교체·코덱 앱 업데이트 후 소프트웨어 인코딩과 결과를 비교해라.
DirectX 대신 Vulkan/Metal을 쓸 수 있나?
Windows 주요 상용 편집기는 DirectX 경로가 기본이다. 앱이 대체 백엔드를 제공할 때만 전환 가능하며 결과는 앱별로 다르다.

References

댓글 쓰기

0 댓글